<p></p><br /><br />지금 중국에선 중국산 백신을 맞은 사람만 접종자로 인정받습니다.<br> <br>미국 백신에 뒤져서는 안 된다, 는 시진핑 정부 의지가 그만큼 강한 거죠.<br><br>그래설까요. 중국 내 접종률도 이미 절반을 훌쩍 넘었습니다.<br> <br>효과도 뛰어나다고 중국 정부는 얘기하는데, 과연 믿을 만할까요.<br> <br>베이징 사공성근 특파원이 직접 중국 백신을 맞고 취재기를 전해 왔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현재 중국에서는 시노백과 시노팜 두 가지 백신을 맞을 수 있습니다. <br> <br>두 백신 모두 WHO 승인을 받았고, 중국에서만 20억 회 접종이 이뤄졌지만, 안전성 논란 등이 여전합니다. <br> <br>여권을 들고 접종센터로 들어가 보겠습니다.<br> <br>베이징 위생건강위원회 발표에 따르면 2차 백신 접종을 마친 비율은 무려 95%, 그런데도 델타 변이 발 확진자가 증가하면서 <br>백신을 맞으려 사람들이 몰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1시간 30분을 기다린 끝에 입장했습니다. <br><br>[현장음] <br>"(저 오늘 무슨 백신 맞나요?) <br>직접 고를 수 있습니다. 시노백과 시노팜 2가지입니다." <br><br>WHO에 따르면 시노팜의 예방효과는 78.1%인 반변, 시노백은 50%로 당연히 시노팜 인기가 높습니다.<br> <br>[현장음] <br>"(시노팜 맞고 싶습니다) 시노팜 없어요. 못 놔줍니다. <br>(선택할 수 있다던데요?) 어제는 가능했는데, 오늘은 없어요." <br><br>결국 기자는 시노백을 맞았고, 30분 동안 이상 반응이 없는지 확인한 후 귀가할 수 있었습니다.<br> <br>[현장음] <br>"술 마시지 말고, 해산물과 소고기, 양고기를 먹지 마세요!" <br> <br>'물백신'이라 부작용이 적을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사흘 내내 주사 맞은 팔이 뻐근하고, 갈증이 심해 물을 자주 마셔야 했습니다. <br> <br>중국에선 화이자나 모더나,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구할 수 없습니다. <br> <br>해외에서 백신을 접종했어도 중국에서는 미접종자로 분류되기 때문에, 중국에서 일을 하려면 중국산 백신을 또 맞아야 합니다. <br> <br>더욱 놀라운 건, 중국 전체로 20억 회분의 접종이 이뤄졌지만, 공식 사망자는 단 1명도 없다는 겁니다. <br><br>중국은 선진국들의 백신 사재기를 비판하며 전세계 112개국에 5억 회분의 백신을 공급했습니다.<br> <br>[시진핑 / 중국 국가 주석(지난 5월)] <br>"대국은 더 책임감을 갖고 더 많은 백신을 개도국에 전달해야 합니다." <br> <br>하지만, 시노백을 주로 맞은 인도네시아에서 돌파 감염이 10%나 발생하며 중국은 체면을 구겼습니다. <br> <br>눈엣가시인 대만은 임상 3상 시험도 마치지 않은 자국산 메디젠 백신 접종을 시작하며 중국을 자극했습니다. <br> <br>중국 당국은 '백신 만리장성을 쌓겠다'고 자신하고 있지만, 정작 환자 1명만 나와도 도시 전체를 봉쇄하는 극약 처방을 내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사공성근입니다.<br><br>영상취재 : 위진량(VJ) <br>영상편집 : 이희정<br /><br /><br />사공성근 기자 402@donga.com